정보

만나이 계산기 (만나이 계산방법)

sigorddd 2022. 12. 26.
반응형

만나이 통일이 드디어 된다고 합니다. 2023년 6월부터 적용 된다고 하는데요. 만나이를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만나이 계산기와 만나이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한국식 나이 계산방법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었던 나이 계산 방법은 크게 세가지입니다. [한국식나이/만나이/연나이] 입니다. 

     

    한국식 나이 : 태아 때부터 1살을 적용하여 세는 나이 "태어날 때 1살"

    만 나이 : 출생일을 기준으로 적용하는 나이 "태어날 때 0살"

    연 나이 :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적용하는 나이 "현재 연도(2022년) - 태어난 연도(2012) = 연나이 10살"

     

    경우에 따라 만나이 / 연 나이가 사용되기도 했지만, 주로 한국식 나이가 적용되어 왔습니다. 이따금씩 혼란을 야기했고, 불편을 초래했기 때문에 통일에 대한 국민적 여론이 형성되었는데, 이제 앞으로는 '만나이'로 통일 적용되는 것입니다.

     

    만나이 계산

    만나이 계산기 (만나이 계산방법)

     

    만나이 계산기를 통하면 보다 쉽게 계산할 수 있지만, 보다 수월하게 만나이 계산방법이 있는데요. 

     

    - 생일이 지났으면 -1살

    -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면 -2살

     

    그래서 내년에 두살이 어려진다고 표현하는 분들이 많은 것이죠. 복잡하게 생각하기 싫고 프로그램 통해 쉽게 계산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만나이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 만나이 계산기로 내 나이 알아보기

     

    만나이 도입 후 달라지는 점

     

    행정절차와 관련해서 간소화 및 변경되는 부분들이 있는데요. 다음의 사항에 대해서는 만나이 도입 후, 나이로 인한 혼란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 군복무 병역시기

    - 각종 세금 비용 납부시기

    - 백신 접종 시기

    - 투표나이

    - 청소년 보호법

    - 공중위생관리법

     

     

    만나이 도입시 문제점

     

    나이에 유난히도 민감한 우리나라이기 때문에 특히나 더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특히나 1년 차이가 나는 나이의 경우 같은 나이로 머물게 되는 시기가 존재하기 때문이죠. 사회적인 혼란을 야기할 정도로 큰 문제는 아니지만, 때때로 당황스러울 수 있을 문제라는 생각이 듭니다.

     

     

     

     

     

     

    교차형 무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