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사랑기부제란, 개인이 현재 주소지를 제외하고 자신의 고향이나 원하는 지자체에 일정액을 기부하고, 세액공제 및 답례품의 혜택을 받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10만원 이하 기부는 전액 세액공제, 10만원 초과 기부는 16.5%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 연말정산 때에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부한도와 답례품 등 고향사랑기부제와 관련한 정보들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고향사랑기부제 대상
법인이 아닌 개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제도이며, 거주 지역을 제외한 전국 모든 지자체에 기부가 가능합니다.
고향사랑기부제 기부한도
기부 상한액은 연간 500만원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지자체는 기부금의 30% 이내에서 답례품 제공이 가능합니다. 10만원을 기부하면 세액공제 10만원, 답례품 3만원을 합하여 총 13만원의 혜택을 볼 수 있는 셈입니다. 만약 100만원을 기부한다면 세액공제 24만 8500원, 답례품 30만원을 합하여 총 54만원 가량의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 고향사랑 기부제 첫시행... 10만원 내면 13만원 돌려받아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답폐품의 경우 지자체별로 답례품 선정위원회를 통하여 선정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지자체는 농축수산물, 가공식품, 생활용품, 관광서비스, 지역상품권 등 200여종의 답례품들을 선정한 바 있다고 합니다.
특히 일부 지자체에서는 시티투어나 입장권, 체험권 등의 방문형 답례품을 개발하여 기부자가 해당지역에 방문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경남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살펴봤더니 - 경남도민일보
\'고향사랑기부제\'가 새해 1월 1일 시행된다. 행정안전부는 기부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을 마쳤고, 경남도와 18개 시군은 1차 답례품 선정을 마무리했다.◇기부를 통한 지역균형발전 = 고향사랑기
www.idomin.com
고향사랑기부제 기부방법
고향사랑기부제는 2023년 1월부터 시행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기부가 가능한 플랫폼도 1월 1일에 오픈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오프라인과 온라인 기부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 오프라인
지자체별로 지정한 금융기관에서 가능할 것이라고 발표되었으며, 대부분 농협 창구를 방문하여 기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구체적인 사항은 1월 1일 고향사랑e음을 오픈하면서 알려질 것 같습니다.
창구를 이요하여 기부를 하고자 하는 분들은 본인 신분증을 지참하여야 기부 및 기부 후 답례품에 대한 안내도 받을 수 있습니다.
✅ 온라인
고향사랑기부제 제도의 원활한 시행을 위하여 고향사랑 e음이라는 홈페이지를 오픈할 계획입니다. 기부자는 고향사랑 e음을 통하여 전국 243개 지자체에 편리하게 기부할 수 있고, 답례품 검색 및 배송상황도 함께 확인할 수 있게됩니다.
주민등록시스템과 연계하여 기부상한액에 얼마나 도달했는지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고 하니, 고향사랑기부제에 관심있는분들께서는 꼭 즐겨찾기 해두시고 관심가지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각 지자체는 정부 광고매체를 활용하여 모금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지자체별로 진행되는 답례품과 혜택들을 눈여겨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내일채움공제 자격 및 신청방법 (0) | 2022.12.31 |
---|---|
종아리 근육 통증 원인 (0) | 2022.12.30 |
확정일자 받는법 받는시기 (0) | 2022.12.29 |
정시 원서접수 사이트 및 공통원서 작성 (0) | 2022.12.28 |
상속인 금융 거래 조회 서비스 알아보기 (0) | 2022.12.28 |
댓글